초중고등 보습영어학원 대부분이 솔까말 쓸데없어. 영어유치원도 진짜 말리고 싶다.
1988년 서울 올림픽 시대때 하던 방식 대부분 그대로 가르치고들 있잖아? 거기서 가르치는게 의미가 진짜 있다고 생각해?
대부분 애들 영어단어 가르칠때도 기계식 암기만 시키고 앉아있어.
. 난 이 의미 이동(semantic shift)을 초등 1학년 에게도 가르치고 이해시키고 있는데, 의미 이동(semantic shift)을 공부해보면 아주 좋아
최고의 영어 선생님 빈리 쌤과 같이 공부하고 싶은 사람은 링크를 클릭하자
https://www.facebook.com/watch/?v=3026802750799112
무식한 사람들은 영단어는 무조건 외우는게 장땡이다 하고 하는 사람들이 무지하게 많아서 놀랐어, 그래서 이 글은 그런 무지성 댓글에는 답을 하지 않을테니, 쌩노가다로 영어공부 하고싶은 사람은 걍 그렇게 계속 살아가시길 추천하고
영어 공부를 정말 의미있고 제대로 하고 싶은 사람만 이 글을 읽기를 추천할게
깊이있는 영어 공부하고 싶은 사람은 이글 읽으면 갑자기 세상이 환해질거야! 진짜루 ㅋㅋ
예를 들어볼게. 영상을 한번 보고 내 글을 읽어봐봐봐
영어 단어 *stick*의 다양한 의미와, 그 의미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자세히 살펴보자. 이 과정에서 *의미 변화*와 *개념적 은유 이론*, 그리고 *역사적 언어학* 관점에서 *stick*의 의미가 어떻게 확장되었는지 볼 수 있을 거야.
*stick*은 본래 "막대기"라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의미에서 시작해, 시간이 흐르면서 추상적인 의미로 확장되었어. 이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하나씩 분석해 보자.
### 1. 기본 의미: "막대기" (Literal Meaning)
역사적으로 *stick*의 기본 의미는 "길고 얇은 나무 조각"이야. 이 물리적 속성에서 출발하여, 사람들은 이 단어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하게 되었지.
#### 예문
- "She picked up a stick to draw in the sand."
- (그녀는 모래 위에 그림을 그리기 위해 막대기를 집어 들었다.)
### 2. 붙다, 고정되다 ("To stick" meaning "to adhere")
*stick*의 구체적인 속성에서 자연스럽게 확장된 의미 중 하나가 "붙다" 혹은 "고정되다"라는 의미야. 막대기처럼 무언가를 붙들어 매거나 단단히 고정하는 것에서 비롯된 거지. 이건 개념적 은유의 관점에서 *구체적인 물체가 서로 연결된 상태*가 추상적 의미인 *사물이 연결된 상태*로 전이된 예야.
#### 예문
- "The poster won’t stick to the wall without some tape."
- (포스터가 테이프 없이는 벽에 붙지 않을 거야.)
### 3. 고수하다, 유지하다 ("To stick to" meaning "to persist or continue")
"붙다"에서 더 추상적인 의미로 이동하여, *stick to*라는 표현은 이제 "고수하다" 또는 "포기하지 않다"는 의미로 발전했어. 이는 "무언가를 물리적으로 고정하는" 행위에서 "신념이나 원칙에 고정되어 있는" 것처럼 은유적으로 사용된 예야.
#### 예문
- "He always sticks to his principles."
- (그는 항상 자신의 원칙을 고수한다.)
### 4. 곤란한 상황에 놓이다 ("In a sticky situation")
여기서 *sticky*는 원래 "점착성의"라는 의미에서 유래했지만, 점착성 있는 물체가 서로 엉키고 곤란한 상황을 만든다는 개념이 은유적으로 확장되어, 이제는 "어려운 상황"을 의미하게 됐어. 역사적으로도 점차 일상에서 쓰이며 더 추상적인 의미로 자리 잡았지.
#### 예문
- "She found herself in a sticky situation when she lost her passport."
- (그녀는 여권을 잃어버려 곤란한 상황에 처했다.)
### 5. 비난하다 ("To stick it to someone" meaning "to criticize or give a hard time")
이 표현은 비난을 통해 상대방에게 정신적 타격을 가하는 것을 뜻해. 이는 "물리적으로 막대기로 찌르거나 때리다"는 기본적 의미에서 확장된 은유적 표현이야. 마치 막대기로 때리듯이 상대방을 공격하는 행위를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이지.
#### 예문
- "He really stuck it to them in his speech."
- (그는 연설에서 그들을 신랄하게 비난했다.)
### 6. 계속하다, 버티다 ("To stick it out" meaning "to endure or persist through")
이 표현도 "막대기가 단단히 서 있는 것처럼 고통이나 어려움 속에서도 자리를 지킨다"는 개념적 은유에서 유래한 표현이야. 물리적으로는 "서 있는 막대"가 추상적으로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꿋꿋이 버티는 것"으로 확장된 것이지.
#### 예문
- "Despite the challenges, she decided to stick it out."
-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버티기로 결심했다.)
### 7. 비공식적 의미로 "비판" ("Give someone some stick" meaning "to criticize or tease")
이건 주로 영국식 표현인데, *stick*을 비판이나 놀림의 의미로 사용해. 물리적 도구로 누군가를 때리거나 찌르는 것에서 은유적으로 "비판하다"는 의미로 변한 것이지. *stick*이라는 단어에 이미 "공격"이라는 기본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 이 의미 확장이 가능했어.
#### 예문
- "He gave me some stick for my mistakes in the game."
- (그는 경기에서 내가 실수한 것에 대해 나를 비난했다.)
---
이와 같이 *stick*이라는 단어는 구체적인 물리적 의미에서 시작하여 점차 추상적인 개념으로 확장되었어. *의미 변화*와 *개념적 은유 이론*을 통해 단어의 다층적인 의미 확장을 볼 수 있고, *역사적 언어학*적으로는 이 과정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지.
더 자세히 설명해줄까?
영어단어를 제대로 공부하고 싶은 사람은 의미 이동(semantic shift)을 공부해보면 아주 좋아. 난 이 의미 이동(semantic shift)을 초등 1학년 에게도 가르치고 이해시키고 있는데,
무식한 사람들은 영단어는 무조건 외우는게 장땡이다 하고 하는 사람들이 무지하게 많아서 놀랐어, 그래서 이 글은 그런 무지성 댓글에는 답을 하지 않을테니, 쌩노가다로 영어공부 하고싶은 사람은 걍 그렇게 계속 살아가시길 추천하고
영어 공부를 정말 의미있고 제대로 하고 싶은 사람만 이 글을 읽기를 추천할게
**의미 이동(semantic shift)**은 언어학에서 단어의 의미가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거나 확장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 과정은 다양한 언어적, 문화적, 사회적 요인에 의해 발생해. 의미 이동은 단어의 본래 의미에서 새로운 의미로 변화하거나, 의미가 확장 또는 축소되는 과정을 포함해.
### **세부 유형별 의미 이동 설명:**
1. **확장(Semantic Broadening)**:
- 단어의 의미가 더 넓은 범위로 확장되는 현상.
- 예: "dog"이 원래 특정한 종류의 개를 의미했지만, 현재는 모든 개를 의미하게 되었어.
2. **축소(Semantic Narrowing)**:
- 단어의 의미가 더 좁은 범위로 한정되는 현상.
- 예: "meat"이 원래 음식 전체를 의미했지만, 지금은 특정한 종류의 육류를 의미해.
3. **변질(Semantic Pejoration)**:
- 단어의 의미가 더 부정적으로 변하는 현상.
- 예: "silly"는 원래 순수하고 행복한 의미였지만, 지금은 바보스럽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바뀌었어.
4. **개선(Semantic Amelioration)**:
- 단어의 의미가 더 긍정적으로 변하는 현상.
- 예: "knight"는 원래 그냥 젊은 사람을 의미했으나, 이제는 용감하고 고귀한 전사를 의미해.
5. **은유적 확장(Metaphorical Extension)**:
- 한 개념을 다른 개념으로 비유하여 의미가 확장되는 현상.
- 예: "grasp"는 원래 물리적으로 붙잡는 것을 의미했지만, 이제는 개념을 이해하는 의미로도 쓰여.
6. **환유적 이동(Metonymic Shift)**:
- 관련된 속성이나 요소를 통해 단어의 의미가 변하는 현상.
- 예: "crown"이 원래 왕관을 의미하지만, 이제는 왕권을 상징해.
7. **의미 변화(Shift in Denotation and Connotation)**:
- **Denotation**: 단어의 사전적, 기본적 의미가 변화하는 경우.
- **Connotation**: 단어의 함축적, 감정적 의미가 변화하는 경우.
- 예: "spinster"가 원래 실을 잣는 여성을 의미했으나, 지금은 부정적인 의미로 결혼하지 않은 여성을 지칭해.
### **의미 이동의 발생 원인:**
1. **사회적 변화(Social Change)**:
- 새로운 기술, 관습, 사회적 규범 등이 생기면서 단어의 의미가 변화할 수 있어.
- 예: "computer"는 원래 계산하는 사람을 의미했지만, 현재는 전자 기기를 의미해.
2. **문화적 변화(Cultural Change)**:
- 문화적 요소나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단어의 의미가 변할 수 있어.
- 예: "gay"는 원래 행복한, 쾌활한 의미였지만, 현재는 성적 지향을 나타내는 단어로도 사용돼.
3. **언어적 요소(Linguistic Factors)**:
- 은유(metaphor), 환유(metonymy)와 같은 언어적 기법이 의미 이동을 일으킬 수 있어.
- 예: "head"는 원래 신체의 머리를 의미했지만, 조직의 수장을 의미하게 됐어.
4. **역사적 변화(Historical Change)**:
- 역사적 사건이나 상황이 단어의 의미에 영향을 줄 수 있어.
- 예: "knight"가 중세의 전사에서 오늘날의 용감한 사람을 의미하게 된 것처럼.
### **의미 이동의 결과:**
의미 이동의 결과로, 단어는 본래의 의미 외에 새로운 의미를 포함하게 되거나, 그 의미가 점차 변형돼서 전혀 다른 뜻으로 사용될 수 있어. 이 과정은 언어가 시대와 함께 변화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의미 이동을 이해하는 것은 언어의 역사와 발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난 이런 내용을 엄마 아빠들한테 가르쳐, 그럼 엄마빠가 자기 자식들을 이렇게 논리적으로 천천히 집에서 가르칠수 있어. 넘 좋지?
슬데없이 애들 영어학원에 몇백만원씩 쓰지 말고, 애들 데리고 많이 놀러다녀. 돈은 그런데다 쓰자 제발.
그리고 예체능 많이 시켜. 어렸을때부터 암기식 영어, 수학 학원 같은거 다니면 애들 머리가 돌아버리는수가 있어. 강남에 그런애들 엄청 많은거 알지?
암기식 영어, 수학 학원 같은거 다닐바엔 예체능 시키고 놀리는게 훨씬 애들을 천재로 만드는겨(이미 뇌과학자들이 다 증명 끝낸겨. 반박시 내가 맞음)
그리고 집에서 엄마빠가 에들이랑 게임 하듯이 의미 이동(semantic shift)을 이미지로 그리는 방법을 이스라엘 애들 하브루타 하듯이 가르쳐봐. 애들 천재 된다.
단어도 자동으로 외워지고 확장됨 개쩔어.
지금 2024년이다. 일제시대 영어공부 아직도 할래? 제발 그만하자 좀.
Nov 9, 2024